전체 글28 중고차 구매 전.후 불안하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중고차를 사기 전에 그리고 샀는데 아무래도 불안하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해 보는 게 어떨까?구매 전_헤이딜러-중고차 숨은 이력 찾기 중고차 구매 전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좋을 것 같다.필자도 중고차 구매 전에 확인해 보니 이전 차주가 헤이딜러에 판매를 하기 위해 올렸던 사진도 있었다.그 사진을 보면 어떤 환경에서 차량을 관리했는지 등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겠다.왜냐하면 그 사진은 중고차 딜러가 판매하기 전 리얼한 차량사용 모습이기 때문이다.그리고 주요 이력이 다 나와서 소유자 변경이 몇 번 있었는지, 사고 이력은 어떤 게 있었는지 등을 알 수 있었다.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매물 확인이고, 이건 최종 결정 전에 확인하는 정도로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헤이딜러 - 중고차 세로고침구매 후_제조사 서비.. 자동차 2025. 1. 30. 더보기 ›› 일주일 안에 중고차 구매하기. 내가 15년식 SM5를 구매한 이유 개인적인 사정이 생겨 급하게 일주일 안에 출퇴근용 중고차를 구매하게 되었다.그 과정에서 느낀 점을 간략히 정리하고자 한다.이전 글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필자는 Kcar에서 중고차를 구매한 적이 있었고, 이번에도 같은 곳에서 구매하였다.중고차 사는 곳, 좋은 중고차 고르기. 중고차 구매 후기구매 예산_차량 가격 정하기 등록비용 포함하여 1000만 원 이하로 설정하였다. 그러다 보니 차량가격은 7~800만 원 정도를 알아봐야 했다.검색 결과, 차량 연식은 약 10년 정도 된 국산차들이 구매 후보가 되었다.연료 선택하기 고속도로 출퇴근 용으로 사용할 차량이기에 유지비가 저렴한 차량을 고려하였다.경유 차량 디젤 차량의 경우 연비가 매우 우수하다.하지만 10년 정도 된 차량을 골라야 했기에 관리가 잘 되지 않았을.. 자동차 2025. 1. 30. 더보기 ›› 중고차 고를때 살펴보면 좋은 세부 사항 6가지 누구나 새 차가 좋다는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차는 필요한데 새 차를 사기엔 자금이 부족할 때 중고차를 알아보게 된다.재테크 관점에서 볼 때, 자동차(동산)는 아파트(부동산)처럼 가지고 있는다고 가치가 늘어나지 않는다.주차장에 세워만 놓아도 가격은 떨어지게 된다.그런 면에서 차를 안 타는 게 제일 좋고, 만약 꼭 필요하다면 어느 정도 신차 가격 대비 감가된 중고차를 사는 것이 경제적이다. 그런데 어떤 차를 사야 할까?중고차는 신차와는 완전 다른 시장이다.어떤 차가 얼마의 시세를 가지고 있는지는 제조사 / 연식 / 주행거리 / 인기, 비인기 차종 / 전 차주의 관리상태 등 수많은 변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중고차를 두 번 구매한 경험을 통해 느낀 내 개인적인 기준을 소개하고자 한다. 중고차 고.. 자동차 2025. 1. 30. 더보기 ›› 사고 후 자동차 전손처리, 폐차를 해야할 때 필자는 어쩌다 보니 두 차례 사고 후 전손처리를 두 번 진행한 경험이 있다.당시에 알아봤던 내용을 정리해 이 글을 읽는 누군가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만약 사고로 인해 전손처리 얘기를 듣고 고민하고 있다면 참고하길 바란다.전손처리(폐차)란? 자동차 보험을 들 때 보험회사에서 자동차의 가치를 매긴 가격(보험가액) 보다 사고로 인해 발생한 수리비(견적)가 더 많이 청구되었을 때 폐차할 경우 이를 전손처리라고 한다(정확한 법적인 용어는 모르니 넘어가자).이럴 경우 보험회사보다 사고차 수리를 맡긴 서비스센터(1급 공업사)에서 견적을 내보고 먼저 얘기하는 경우가 많다. 고치고자 하면 고칠 수 있는데, 보험가액 이상의 비용은 개인부담해야 하니 전손처리를 고려해 보라고 말이다. 예를 들어 보험사가 생각하는 차량의 .. 자동차 2025. 1. 19. 더보기 ›› 내집마련에 대한 나의 생각,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지금까지 여러 부동산 책들을 읽고, 대한민국 국민 대부분의 자산이자 재테크 수단인 부동산.그중에서도 '내 집 마련'에 대한 생각을 기록해 보고자 한다.부린이라면 아래 유튜브 채널을 참고하길 바란다.월급쟁이 부자들 유튜브 채널 내 집마련이 필요한 이유들결론부터 얘기하면 내 집 마련은 꼭 필요하다.여러 의견이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난 집을 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주거 안정성 짧게는 2년마다 이사를 가야 한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혼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아무래도 덜 부담스럽겠지만, 결혼을 하고 아이가 있다면 더욱 복잡해지게 된다.왜냐하면 아이의 학업과도 연관되기 때문이다.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이렇게 영유아 및 초등학생 일 때까지는 부모의 손길이 많이 필요한 게 사실이다.그런데 이사를.. 독서 2025. 1. 11. 더보기 ›› 이전 1 2 3 4 ··· 6 다음